JAVASCIPRT THIS에 대해 알아보자

2020. 09. 07

자바스크립트가 아닌 다른 대부분의 객체지향 언어에서 this는 클래스로 생성한 인스턴스 객체를 의미합니다. 그러나 자바스크립트에서 this는 어디서든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자바스크립트에서 this는 상황에 따라 바라보는 대상이 달라집니다. 함수와 객체(메서드)의 구분이 느슨한 자바스크립트에서 this는 실질적으로 함수와 메서드를 구분하는 거의 유일한 기능이며, this의 동작 방식을 이해하지 않고 작업을 할 경우 참조 되는 this가 의도한 this와 달라 많이 헤메일 수 있습니다.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 this

자바스크립트에서 this는 기본적으로 실행 컨텍스트가 생성될 때 함께 결정됩니다. Context가 생성 될때 같이 생성되는 것들이

  • VariableEnvironment
  • LexicalEnvironment
  • ThisBinding

에서 this도 Context가 생성될 때 결정이 됩니다. 실행 컨텍스트는 함수를 호출할 때 생성되므로, 이는 즉 this는 함수를 호출할 때 결정된다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함수를 어떤 방식으로 호출하는지에 따라 값이 달라지기에, 개발할 때 함수의 호출 시점을 유심히 봐야 합니다.

전역 공간에서 this

전역 공간에서 this는 전역 객체를 가리킵니다. 개념상 전역 컨텍스트를 생성하는 주체가 전역 객체이기 때문입니다. 전역 객체는 자바스크립트 런타임에 따라 브라우저 환경에서는 Window, 노드 환경에서는 Global 입니다.

전역변수를 선언하면 JS 엔진은 전역 변수를 전역 객체의 프로퍼티로도 할당합니다.

var a = 5
let b = 3
const c = 1

console.log(window.a) // 5
console.log(window.b) // undefined
console.log(window.c) // undefined

저는 이제 var 를 아예 안쓰고 letconst로 작업을 진행하다 보니 전역변수로 설정 되지는 않는데 왜 letconst는 전역 변수로 등록되지 않을까요?

이를 자세히 알아보기 위해 검색 했을 때, 다음과 같은 글을 볼 수 있었습니다. A javascript ‘let’ global variable is not a property of ‘window’ unlike a global ‘var’

함께 보기 좋은 글인거 같아 하나 더 첨부합니다. JavaScript Variables Lifecycle: Why let Is Not Hoisted

결론적으로 이야기 하자면, let, const 의 경우 global environmentdeclarative environment record에는 저장이 되지만, object environment record에는 저장이 되지 않기 때문에 window 객체의 프로퍼티로 접근 할 수 없게 됩니다.

메서드 호출할 때 메서드 내부에서의 this

함수 vs 메서드

함수를 실행하는 여러 가지 방법 중, 가장 일반적인 두가지 방법은 함수로서 호출과 메서드로서 호출하는 것 입니다. 메서드와 함수 호출을 구분할 수 있는 가장 눈에띄는 구분자는 독립성 입니다. 함수는 자체로 독립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반면에 메서드는 자신을 호출한 대상 객체에 관한 동작을 수행합니다. 자바스크립트는 상황별로 this 키워드에 다른 값을 부여하게 함으로써 이를 구현하였습니다.

자바스크립트에서 메서드를 객체의 프로퍼티에 할당된 함수라고 이해할 수도 있는데 자바스크립트에서는 객체의 메서드로 호출할 경우에만 메서드로 동작하고, 그렇지 않으면 함수로 동작하게 됩니다.

let letA = 52
var varA = 23
const conA = 57

var func1 = function() {
  console.log(this.letA, this.varA, this.conA)
}

var obj = {
  letA: 12,
  varA: 13,
  conA: 15,
  met: func1,
}

func1()
obj.met()

해당 함수의 콘솔을 브라우저에서 확인하면

undefined 23 undefined
12, 13, 15
라는 값이 나옵니다. 하지만 노드에서는

undefined undefined undefined
12, 13, 15
이 나오며, node에서는 전역 변수로 등록을 하려면 global.property로 등록해야 사용이 가능합니다.

여담이 길었는데, 결국 함수를 호출 할 때 함수로서 호출메서드로서 호출시에 this가 달라지는 것을 확인 했습니다. 이 함수로서 호출메서드로서 호출을 구분하는 방법은, 함수 앞에 .이 있는지의 여부입니다. 메서드로서 호출된 함수의 경우 참조하는 this는 호출된 메서드 바로 앞에, . 앞에 놓여져있는 객체 입니다.

함수로서 호출할 경우에는 this가 지정이 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this에는 함수를 호출한 주체에 대한 정보가 담기게 됩니다. 함수로 호출하는 것은 호출 주체(OOP에서의 객체)를 명시하지 않고 개발자가 코드에 직접 관여해 실행한 것이기에 호출 주체의 정보를 알 수 없습니다. 이런 경우 this는 전역 객체를 바라봅니다.

메서드 내부함수에서의 this

메서드에서 내부 함수를 정의하고, 이 함수에서 this 키워드를 사용하여도 이 this는 전역객체를 가리키게 됩니다.

var obj1 = {
  outer: function() {
    console.log(this)
    var innerFunc = function() {
      console.log(this)
    }
    innerFunc()

    var obj2 = {
      innerMethod: innerFunc,
    }
    obj2.innerMethod()
  },
}
obj1.outer()
// obj1, Window, obj2.innerMethod 순으로 this가 참조됩니다.

이렇게 구분하면, this에 대해 명확하게 구분을 할 수 있지만, 우리가 의도한 대로 작업한게 아니게 됩니다. 만약 개발할 때 저렇게 this를 사용한다면 전역 객체 this에 접근하려는게 아니라 자연스럽게, 문맥적으로 가장 가까운 주변 환경의 this를 그대로 상속받아 작업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고 개발 할 것입니다. 마치 변수의 스코프를 탐색하는 것과 마찬가지로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 자바스크립트 개발자들이 사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var obj1 = {
  outer: function() {
    console.log(this)
    var innerFunc = function() {
      console.log(this)
    }
    innerFunc()

    var self = this // 객체의 this의 참조값을 변수로 저장하여, 이 변수를 건내주는 것 입니다.
    var innerFunc2 = function() {
      console.log(self)
    }
    innerFunc2()
  },
}
obj1.outer()

이렇게, 상위 스코프에 있는 this를 변수에 저장해서, 이 변수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해결했습니다.

ES6에서는 더 깔끔하게 이 문제를 해결했는데요, 저도 주로 이 방법을 사용합니다.

const obj = {
  outer: function() {
    console.log(this)
    const innerFunc = () => {
      console.log(this)
    }
  },
}

그 밖에도, call, apply, bind라는 친구들이 존재합니다.

콜백함수에서 this

콜백함수에서의 this는 명확히 this는 이거다! 라고 지정할 수 없습니다. 콜백함수의 제어권을 가지는 함수 또는 메서드가 콜백 함수에서 this를 무엇을 할지 결정하며, 특별히 정의하지 않은 경우 기본 함수와 마찬가지로 전역 객체를 가리키게 됩니다.

setTimeout(function() {
  console.log(this)
}, 300) // window
;[1, 2, 3, 4, 5].forEach(function(x) {
  console.log(this)
}) // window
document.body.querySelector("div").addEventListenr("click", function(e) {
  console.log(this)
}) // div 엘리먼트

위에서 addEventListener 의 경우 지정한 HTML element에 해당 이벤트(‘click’)이 발생할 때마다 콜백 함수의 첫번째 인자로 이벤트 정보를 담아 함수를 실행하며, this를 해당 이벤트를 일으킨 엘리먼트에 binding 합니다.

생성자 함수에서의 this

생성자 함수에서의 thisnew 키워드로 생성자 함수를 사용할 때 만들어지는 인스턴스를 의미합니다.

명시적 this binding

Function.prototype.call(thisArg, args…)

call 메서드는 메서드의 호출 주체인 함수를 즉시 실행되도록 하는 명령어 입니다. call의 첫 번째 인자를 this로 바인딩하고, 이후 인자들을 호출할 함수의 매개변수로 합니다.

var nodeList = document.querySelectorAll("div") // div 노드의 유사 배열이 저장이 됩니다.
// 유사 배열은 배열 메서드를 사용할 수 없지만, length값과 정수의 index, iterable이 가능합니다.
// 여기서 배열의 메서드를 사용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사용합니다.

Array.prototype.forEach.call(nodeList, function(v) {
  console.log(v)
})

Function.prototype.apply(thisArgs, […])

apply 메서드는 call 메서드와 기능적으로 동일하나, 두 번째 인자로 배열을 받아 그 배열의 요소들을 호출할 함수의 매개변수로 지정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객체의 상속 구현시

생성자 내부에 다른 생성자와 공통된 내용이 있을 경우 call 또는 apply를 이용해 다른 생성자를 호출하여 반복을 줄일 수 있습니다.

function Person(name, gender) {
  this.name = name
  this.gender = gender
}

function Student(name, gender, age) {
  Person.call(this, name, gender)
  this.age = age
}

Function.prototype.bind(thisArg, …arg)

call과 비슷하지만 즉시 호출하지 않고, 넘겨 받은 this와 인수들을 바탕으로 새로운 함수를 반환하는 메서드 입니다.

Arrow function

화살표 함수는 실행 컨텍스트 생성 시 this를 바인딩 하는 과정이 제외되었으며, 함수 내부에 this가 아예 없고 접근하려고 하면 스코프체인상 갖아 가까운 this에 접근합니다.


© 2025 Doe의 devlog, Built with Vapor blog Theme Gatsby